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구공항 국제선 직항 노선 총정리 2025

by 여행 포켓 2025. 4. 3.
반응형

목차

     

    2025년 기준 대구국제공항은 대구광역시와 경북 내륙권 주민들의 국제 여행 및 비즈니스 출입국 거점으로 자리 잡으며, 다양한 아시아 도시들과의 직항 노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일본, 중국, 동남아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이 강화되고 있으며, 계절편과 정기편을 아우르는 구조로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대구공항에서 출발 가능한 국제선 직항 노선을 항공사, 운항 빈도, 주요 특징과 함께 정리합니다.

    대구공항 국제선 직항 노선 총정리 2025 썸네일

    1. 일본 노선

    1. 후쿠오카 (Fukuoka, FUK)

    • 항공사: 티웨이항공
    • 운항 형태: 정기편, 매일 운항
    • 비행 시간: 약 1시간
    • 특징: 주말 여행 및 단기 일정 수요에 적합한 근거리 노선

    2. 오사카 간사이공항 (KIX)

    • 항공사: 티웨이항공
    • 운항 형태: 주 5회 운항
    • 비행 시간: 약 1시간 30분
    • 특징: 쇼핑, 관광, 가족 단위 여행객 중심 수요

    3. 도쿄 나리타공항 (NRT)

    • 항공사: 티웨이항공
    • 운항 형태: 주 4회 운항
    • 비행 시간: 약 2시간
    • 특징: 수도권 중심 여행자 및 비즈니스 출장 수요

    2. 중국 노선

    1. 상하이 푸동공항 (PVG)

    • 항공사: 중국동방항공
    • 운항 형태: 정기편, 주 2회
    • 비행 시간: 약 2시간

    2. 연길 (YNJ)

    • 항공사: 티웨이항공 (계절편)
    • 운항 기간: 4~10월, 주 3회 운항
    • 특징: 조선족 방문 수요와 관광 목적

    3. 장가계 (DYG)

    • 항공사: 사천항공, 티웨이항공
    • 운항 형태: 계절편, 주 2회
    • 비행 시간: 약 3시간
    • 특징: 산수 관광 수요 중심

    3. 홍콩 노선

    1. 홍콩 국제공항 (HKG)

    • 항공사: 홍콩익스프레스
    • 운항 형태: 계절편 (6~10월), 주 3회
    • 특징: 자유여행객, 쇼핑 중심 수요

    4. 몽골 노선

    1. 울란바토르 (ULN)

    • 항공사: 티웨이항공
    • 운항 형태: 계절편 (4~10월), 주 2회
    • 특징: 대구~몽골 직항 유일, 유학생 및 관광 수요 집중

    5. 대만 노선

    1. 타이베이 타오위안공항 (TPE)

    • 항공사: 진에어, 티웨이항공
    • 운항 형태: 주 4회, 3~10월 계절 운항
    • 비행 시간: 약 2시간 30분

    6. 필리핀 노선

    1. 세부 (CEB)

    • 항공사: 제주항공
    • 운항 형태: 정기편, 주 3회 (2025년 신규 취항)
    • 비행 시간: 약 4시간 30분

    7. 태국 노선

    1. 방콕 수완나품공항 (BKK)

    • 항공사: 티웨이항공
    • 운항 형태: 계절편, 주 3회 (3~10월)
    • 비행 시간: 약 6시간

    8. 베트남 노선

    1. 다낭 (DAD)

    • 항공사: 티웨이항공
    • 운항 형태: 계절편, 주 4회
    • 비행 시간: 약 4시간

    2. 나트랑 (CXR)

    • 항공사: 티웨이항공, 비엣젯항공
    • 운항 형태: 계절편, 주 3회
    • 비행 시간: 약 4시간 30분

    9. 대구공항 국제선 운영의 특징

    • LCC 중심 노선 구성: 대부분의 직항 노선은 티웨이항공 등 저비용항공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어,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고 접근성이 우수합니다.
    • 계절편 다수: 중국, 동남아 대부분 노선이 계절편 형태로 운영되어 성수기 중심 항공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 아웃바운드 관광 수요 중심: 비즈니스보다는 관광 목적 출국 수요가 중심이며, 가족 단위 및 자유여행객 비중이 높습니다.

    10. 마무리

    2025년 대구국제공항의 국제선 네트워크는 후쿠오카, 오사카, 타이베이, 세부, 다낭 등 인기 여행지와의 연결성을 확보하며, 저비용항공사를 중심으로 가격과 편의성 모두를 고려한 구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향후 동남아 수요 확대 및 중국노선의 복원과 함께 노선 다변화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대구 및 인접 지역 주민들에게는 가까운 공항에서 손쉽게 해외 여행을 시작할 수 있는 실용적 선택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출처: 대구국제공항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 대구 벚꽃 개화시기 & 축제 & 명소 가이드

    목차 대구의 봄은 벚꽃과 함께 찾아와요. 따뜻한 날씨 덕분에 벚꽃이 비교적 빠르게 개화하는데요. 2025년에도 대구 곳곳에서 화려한 벚꽃을 감상할 수 있을 예정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대구의

    jovlysite.com